Java/DB?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정규화 정규화의 목적은 중복 데이터를 없애고 관계를 단순하게 가지게 하는 것이다. 제1정규화: 원자성 원자성은 테이블의 컬럼이 원자값, 즉 하나의 값만 갖도록 테이블을 분해하는 것이다. 제2정규화: 완전 함수적 종속 (부분 종속 제거) 제2 정규화란 제1 정규화를 진행한 테이블에 대해 완전 함수 종속을 만족하도록 테이블을 분해하는 것이다. 여기서 완전 함수 종속이라는 것은 기본키의 부분집합이 결정자가 되어선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완전 함수 종속이란 것을 봤을때 용어만 놓고 보면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일단 완전 함수적 종속은 기본키가 복합키일때 적용해야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표를 그려보았다. 사이트 영화이름 장르 평점 네이버 아바타:물의 길 SF 8.8 다음 아바타:물의 길 SF 7.9 다음 영웅 드라마 8.9.. 논리적모델링,물리적 모델링 3. 논리적 모델링 논리적 모델링: ER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관계 스키마 모델을 만드는 과정 4. 물리적 모델링 물리적 모델링: 관계 스키마 모델의 물리적 구조를 정의하고 구현하는 과정 개념적 모델링 개념적 모델링: 개체와 개체들 간의 관계에서 ER다이어그램을 만드는 과정이다. ER모델: 세상의 모든 사물을 개체(Entity)와 개체 간의 관계(Relationship)으로 표현한다. 인데 용어로만 보니 역시 이해하기 힘들다. 그림으로 나타내보자면 이렇게 그릴수 있다. 또한 새발 표기법이라는 것이 있는데, 관계의 의미나 제약조건 등을 개체 타입들을 연결하는 실선 위에 몇 가지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표기법이다. 이 방법을 내가 과제로 진행했던 프로젝트에 적용해서 그려보면 이렇게 나온다. User개체는 Post와 Comment개체에 반드시 존재해야하지만, User개체는 Post개체와 Comment개체를 한개 가지거나, 여러개 가지거나, 가지지 않더라도 존재한다. 즉, 1:0 or 1:1 or 1:N관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