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cade
- 사용 위치
- 연관관계의 주인 반대편 - 부모 엔티티(다대일에서 일)
- 즉, @OneToMany 가 있는 쪽 또는 @OneToOne 도 가능
- 예를들어, 게시글과 첨부파일이라면 일에 해당하는 게시글에 설정한다.
- 사용 조건
- 양쪽 엔티티의 라이프사이클이 동일하거나 비슷해야한다.
- 예를들어, 게시글이 삭제되면 첨부파일도 같이 삭제 되어야 한다.
- 대상 엔티티로의 영속성 전이는 현재 엔티티에서만 전이 되어야 한다. (다른곳에서 또 걸면 안됨)
- 예를들어, 첨부파일을 게시글이 아닌 다른곳에서 영속성 전이를 하면 안된다.
- 양쪽 엔티티의 라이프사이클이 동일하거나 비슷해야한다.
- 옵션 종류
- ALL : 전체 상태 전이
- PERSIST : 저장 상태 전이
- REMOVE : 삭제 상태 전이
- MERGE : 업데이트 상태 전이
- REFERESH : 갱신 상태 전이
- DETACH : 비영속성 상태 전이
orphanRemoval
- 사용 위치
- @OneToMany 또는 @OneToOne 에서 사용 - 부모 엔티티
- 사용법
- Cascade.REMOVE 와 비슷한 용도로 삭제를 전파하는데 쓰인다.
- 부모 객체에서 리스트 요소삭제를 했을경우 해당 자식 객체는 매핑정보가 없어지므로 대신 삭제해준다.
- 요건 DB 에서는 절대 알 수 없는 행동이다. (부모가 자식의 손을 놓고 버리고 간 고아 객체)
Cascade와 orphanRemoval의 차이점?
Cascade.REMOVE의 경우 일에 해당하는 부모 엔티티를 em.remove를 통해 직접 삭제할 때,그 아래에 있는 다에 해당하는 자식 엔티티들이 삭제되는 것이다.
orphanRemoval=true는 위 케이스도 포함하며,일에 해당하는 부모 엔티티의 리스트에서 요소를 삭제하기만 해도 해당 다에 해당하는 자식 엔티티가 delete된다.
즉, orphanRemoval=true 는 리스트 요소로써의 영속성 전이도 해준다는 뜻이다.
✅ 영속성 전이 최강 조합 : orphanRemoval=true + Cascade.ALL
위 2개를 함께 설정하면 자식 엔티티의 라이프 사이클이 부모 엔티티와 동일해지며, 직접 자식 엔티티의 생명주기를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자식 엔티티의 Repository 조차 없어도 된다. (따라서, 매핑 테이블에서 많이 쓰임)
'Java > Spring Jp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렬 (0) | 2023.02.02 |
---|---|
원하는 값만 쿼리로 가져오기 (0) | 2023.02.02 |
delete() 메서드 최적화 (0) | 2023.02.02 |
Repository 기능 제한 (0) | 2023.02.02 |
복합키 사용하기 (0) | 202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