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지(일간)

22년 11월 09일 파이썬 기초(2)

move2 2022. 11. 9. 22:21

어제 했던 파이썬 공부를 이어서 했다.

 

f스트링의 적용방법에 대해서 배웠다.

f스트링 미적용
f스트링 적용

둘의 값은 같게 나온다.

 

집합에 대해서 배웠다.

a = ['1','2','3','4','5']
b = ['2','4','6','1']

print(set(a) & set(b))

위 코드와 같이 쓰면 두 그룹의 교집합을 구할 수 있다.

이를 조금 응용하면,

이런식으로 대칭 차집합도 구해 볼 수 있다.

 

이번에 파이썬에 대해 배우면서 가장 신기했던 한줄쓰기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왼쪽과 오른쪽의 값은 같게 나온다.

이를 이용하면 리스트를 쓸때도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파이썬에서 클래스를 이용해 객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다.

class Monster():
    hp = 100
    alive = True

    def damage(self, attack):
        self.hp = self.hp - attack
        if self.hp < 0:
            self.alive = False

    def status_check(self):
        if self.alive:
            print('살')
        else:
            print('죽')

    def hp_check(self):
        print(self.hp if self.hp > 0 else "죽었습니다")

m1 = Monster()
m1.damage(150)
m1.hp_check()
m1.status_check()


m2 = Monster()
m2.damage(99)
m2.hp_check()
m2.status_check()

몬스터의 hp와 상태를 나타내는 클래스를 만들고 그에 대해서 작동하는 함수를 만들었다.

예제는 일정량만큼의 데미지를 받고, 살았는지 죽었는지 확인하는 함수 밖에 없었는데 강의를 들으면서 기억에 남았던 한줄쓰기를 활용해 남은 hp를 확인하는 함수를 만들어 넣어 보았다.